소통[청년 공감 북구]
민원명 수수료 비고로 구분하여 증명민원 통합발급 테이블 입니다.
구분 |
청년정책위원회 |
청년정책 네트워크 |
설치근거 |
북구 청년지원 기본조례 제8조 |
북구 청년지원 기본조례 제13조 |
구성 |
17명
당연직 5명, 위촉직 12명 |
27명 (19~34세 청년)
문화, 경제, 복지, 공동체 4개팀 |
주요기능 |
청년 정책 심의·조정
- 청년정책 주요사항의 내실 있는 심의
[심의사항]
- 기본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 청년정책 시행을 위한 관련 사업
- 그 밖에 청년정책에 필요한 사항
- 청년정책의 전문적이고 다양한 의견수렴
|
아이디어 발굴·정책 제안
- 청년의 구정참여 확대
- 정책제안 기회 보장
- 청년 교류행사 추진 및 정책워크숍 개최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초기 청년창업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여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도모
사업내용
- 지원대상 : 만39세 이하 청년 1명 이상 고용 중인 창업 7년 이내 청년창업기업
- 지원금액 : 기업별 15,000천원 내
- 지원분야 : IT, 디자인, 출판, 번역, 다양한 콘텐츠(앱) 개발, 전문 컨설팅, 그래픽,
지역 공예품 및 특산물 육성 등
- 지원내용 : 임차료(공간, 장비), 시제품 제작, 교육 및 컨설팅, 마케팅 등
- 신청안내 : 부산일자리정보망(busanjob.net) 온라인 신청
≫부산일자리정보망 > 청년부산잡스 > 부산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문의) 일자리경제과 309-5172
청년도전 지원사업
구직단념 청년들의 구직의욕 고취, 노동시장 참여 및 취업 촉진 지원
사업내용
- 지원대상 : 최근 6개월간 취업 및 교육 참여 이력이 없고, 구직단념 청년 문답표 확인결과 21점 이상(만점 30점)인 청년(만 18~34세)
- 지원내용 : 위닛 캠퍼스(We knit)캠퍼스 운영 / 1:1 밀착상담, 자신감 회복, 진로탐색 취업역량강화, 지역맞춤형 프로그램 등
- 신청안내 : 부산경제진흥원 600-1700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북구 거주 청년들에게 월20만원(연 최대 240만원)을 지원하여 주거비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청년의 주거독립 지원과 지역 정주를 유도
사업내용
- 지원대상 : 부모 별도 거주 만19~34세 무주택청년 * 생애 1회 참여 제한
- 소득기준 : (원가구)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 (청년독립가구)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소득·재산요건 >
민원명 수수료 비고로 구분하여 증명민원 통합발급 테이블 입니다.
구분 |
청소년독립가구 |
원가구 |
소득평가액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22년 1인가구 기준 116만원)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22년 3인가구 기준 419만원) |
재산가액 |
1억 7백만원 이하 (행복주택 대학생 재산기준 + 차량가액) |
3억 8천만원 이하 (공공자가주택 재산기준) |
< 2022년 기준 중위소득(보건복지부고시 제2021-211호) (단위 : 원) >
민원명 수수료 비고로 구분하여 증명민원 통합발급 테이블 입니다.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기준 중위소득 100% |
1,944,812 |
3,260,085 |
4,194,701 |
5,121,080 |
6,024,515 |
6,907,004 |
7,780,592 |
기준 중위소득 60% |
1,166,887 |
1,956,051 |
2,516,820 |
3,072,648 |
3,614,709 |
4,144,202 |
4,668,355 |
※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1인 증가시마다 873,588원씩 증가(8인가구: 8,654,180원)
- 주택기준 : 임차보증금 5천만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 이하(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 합산 70만원 이하)
- 지원내용 :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 범위 내에서 월 최대 20만원씩 12개월 지원
- 시행시기 : 신청(‘22. 8~) → 소득재산조사(’22. 10~) → 대상자 결정·통보(‘22. 10~)
→ 지급(‘22. 11~) ※ 신청시점부터 소급하여 지급
- 모의계산 서비스 : 마이홈포털 누리집 및 어플리케이션 * 5/2(월) 개시
- 신청안내 :복지로 또는 관할 행정복지센터 (문의) 일자리경제과 309-5171, 동 행정복지센터
청년희망키움통장
저소득 근로소득 청년의 자립 기반 마련 및 자산형성 지원
사업내용
- 지원대상 : 생계급여 수급청년 중 근로·사업 소득이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30%이하인 청년(만15~39세 이하)
- 지원내용 : 3년 간 통장유지, 매월 본인 소득에 비례하여 적립
- 신청안내 : 주민등록 기준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서 및 소득신고서 등 제출(문의) 복지정책과 309-4495
청년디딤돌카드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층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여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디딤돌 체크카드 지원
사업내용
- 사업대상주민등록상 부산시 거주 만18세~만34세 미취업 청년 * 생애 1회 참여 제한
- 지원내용 : 사회진입활동비 최대 300만원 지원(월 50만원 × 6개월)
- 사업문의 : (재)부산경제진흥원 (문의) 051-600-1885, 1886, 1888, 1889
청년 프로그램 지원 사업
청년단체 등 민간이 참여하는 다양한 청년활동 프로그램 지원
- 사업기간 : 2022년(계속)
추진일정
- ‘22. 1월 : 사업 공고 및 신청접수
- ‘22. 3월 : 사업 공모 선정
- ‘22. 4~12월 : 사업추진
- 지원대상 : 구·군과 청년·청년단체 등 민간과 컨소시엄 구성(요건) 구성원 중 청년(만18세~34세)의 비율 50% 이상 권장
- 사업내용 : 청년의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분양의 청년활동 지원
- 지원규모 : 1개 프로그램당 12백만원(시비) 이내 지원 (구비 25%, 자부담 5% 별도)
- 문 의 : 일자리경제과 309-5171
2022년 청년 프로그램 지원 사업
민원명 수수료 비고로 구분하여 증명민원 통합발급 테이블 입니다.
사업명 |
컨소시엄 |
사업내용 |
세부사업명 |
추진내용 |
추진일정 |
청년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상생프로젝트
「투레브」 |
만덕종합복지관
아르데오 |
지역청년 네트워킹
(함께 꿈꾸다) |
협동조합 및 메타버스 교육
지역청년 네트워크 활동 |
4~12월 |
청년마을활동
(함께 꿈을 발견하다) |
키자니아(ver.어른)
청년 마을활동 |
6~11월 |
재능기부
(청년, 꿈을 나누다) |
사회복지시설 협약 청년공동프로젝트 실시 |
6~12월 |
책과 영화가
함께하는
청년공감 영화제 |
주식회사엔지디
(주)무사이
네시오십분 |
나만의 언어 만들기 |
영화관람과 영화평 쓰기
에세이 수업 및 글쓰기 |
4~9월 |
청년공감영화제 |
영화제 기획 및 개최
(10월 중 5일간 진행 예정) |
8~10월 |
*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청년 거리예술 활성화 지원 사업
청년 거리예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
- 사업기간 : 2022년(계속)
추진일정
- ‘22. 3월 : 사업 공고 및 신청접수
- ‘22. 4월 : 사업 공모 선정
- ‘22. 4~12월 : 사업추진
- 지원대상 : 구·군과 청년예술단체 등 민간과 컨소시엄 구성
(요건) 청년예술가 및 단체는 만39세 이하 부산 거주 청년예술가로 구성
최근 2년간 단체명으로 부산에서 활동한 실적 1건 이상
- 지원내용 : 버스킹형 공연 프로그램 지원(사업 횟수 최소 4회 이상)
- 지원규모 : 1개 프로그램당 10백만원(시비) 이내 지원 (구비 20% 별도)
- 문 의 : 일자리경제과 309-5171
2022년 청년 거리예술 활성화 지원 사업
민원명 수수료 비고로 구분하여 증명민원 통합발급 테이블 입니다.
사업명 |
컨소시엄 |
사업내용 |
세부사업명 |
추진내용 |
추진일정 |
버스킹형
스트릿 댄스컬
<파트타임 유랑단> |
몽키즈
댄스스튜디오 |
지역청년예술가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창작 스트릿 댄스컬
거리공연 개최 |
화명장미공원 |
6월 중 |
숙등공원 |
8월 중 |
구포역광장 |
9월 중 |
백양근린공원 |
10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