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찾기 서비스
『나의 뿌리찾기』서비스란
본인의 뿌리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분들을 위해 본관 및 성씨의 유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내용
우리나라 성씨 (성씨별 인구순위 기준)
- 기본현황, 성씨별 유래, 시조, 변천과정 등
북구 성씨 중심 (전래 문중과 집성촌 기준)
- 기본현황, 북구 토착근거, 특정인물, 유적 등
[2편] 성씨와 본관
- 2021-02-19 19:46:38
- 민원봉사과
- 조회수 : 1148
[ 나의 뿌리찾기 서비스 2편 ( 성씨와 본관 ) ]
◪ 성씨와 본관
○ 혈통과 출신을 나타내는 성씨와 본관은 한국사회의 하나의 특징으로 자리잡았습니다.
○ 한국 성씨제도의 특징일 뿐 아니라, 신분질서의 핵심적 역할을 해왔으며, 한국인 뿌리의식의 기본이 되고 있습니다.
◪ 성씨와 본관의 통계자료
○ 조선 초기 세종실록지리지 250개 성씨, 4400여 개 본관
○ 1930년대 국세조사 통계자료 250여 성씨, 3300여개 본관
○ 2000년 통계청 286개 성씨, 4179개 본관
○ 2015년 통계청 534개 성씨, 15,101개 본관
◪ 성씨 [ 姓氏 ]
◆ 개념
○ 성씨란 일정한 인물을 시조로 하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단계혈연집단(單系血緣集團)의 한 명칭입니다.
성 - 부계(父系)의 혈통을 나타내며 바꾸지 못합니다.
씨 - 분화된 혈통(성)의 각각의 지연(地緣)을 표지하는 표시입니다.
◆ 우리나라 성씨의 특징
○ 성과 본관은 가문을, 이름은 가문의 대수를 나타내는 항렬(行列)과 개인을 구별하는 자(字)로 구성됩니다.
○ 부계 위주의 가계 그 자체를 본위로 한 칭호입니다.
○ 혈연관념상 자기의 출자한 씨족을 표시하여 바뀌지 않습니다.
○ 성불변의 원칙은 우리 <민법>의 가장 두드러진 특색이기도 합니다.
○ 삼국시대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한자성을 사용합니다.
◆ 최초의 문헌
○최초의 인문지리지인 ≪세종실록≫ 지리지의 성씨조에 있습니다.
◪ 본관[ 本貫 ]
◆ 개념
○ 본관은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합니다.
성(姓)의 출자지 또는 시조의 거주지를 통해 혈통관계와 신분을 나타내는 관습제도입니다.
◆ 본관의 연원
○ 성을 사용하기 전인 7세기 이전에는 그 사람의 출신지(거주지)입니다.
○ 시조의 출신지 또는 그 씨족이 대대로 살아온 고장입니다.
○ 이족의 동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동족의 표시입니다.
◆ 본관제도 시작
○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호족들이 독립된 세력으로 지배권을 확립하고 성씨제도와 연결되면서 씨족의 발상지가 되었습니다.
○ 그 발상지가 본관으로 굳어졌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입니다.
◆ 본관제도 정착
○ 고려 태조는 지방행정제도를 정비하면서 군현제 개편과 토성분정(土姓分定) 사업을 시행하였습니다.
○ 고려 성종에 이르러 지방행정제도를 정비하면서 본관제도가 정착되었습니다.
○ 본관제도는 고려의 지방행정 통치조직의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 성과 본관의 상관관계
○ 동성동본(同姓同本)
○ 동성이본(同姓異本)
○ 이성동본(異姓同本)
○ 이성이본(異姓異本)
◪ 시조 설화
○ 성씨는 당초 왕실부터 시작하여 귀족·관인·양민·천민순으로 보급되어 갔습니다.
○ 이에 신성시 또는 특권시되어 득성 유래와 시조의 출자에 관해서는 신화와 민담이 많이 전승되었습니다.
○ 시조설화로는 혁거세(赫居世)·탈해(脫解)·알지(閼智)·수로왕, 제주의 고(高)·양(良)·부(夫) 3성시조설화가 있습니다.
◪ 성씨에 관한 속담
○ 성을 갈겠다
○ 이름도 성도 모른다
○ 촌놈 성 김가 아니면 이가다
○ 김씨가 한몫 끼지 않은 우물은 없다
○ 머슴살이 삼년에 주인 성 묻는다
○ 한 집안의 김별감성을 모른다
○ 10년을 같이 산 시어미 성도 모른다
〈나의 뿌리찾기 서비스는 조상과 나의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성씨와 본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성씨와 본관
○ 혈통과 출신을 나타내는 성씨와 본관은 한국사회의 하나의 특징으로 자리잡았습니다.
○ 한국 성씨제도의 특징일 뿐 아니라, 신분질서의 핵심적 역할을 해왔으며, 한국인 뿌리의식의 기본이 되고 있습니다.
◪ 성씨와 본관의 통계자료
○ 조선 초기 세종실록지리지 250개 성씨, 4400여 개 본관
○ 1930년대 국세조사 통계자료 250여 성씨, 3300여개 본관
○ 2000년 통계청 286개 성씨, 4179개 본관
○ 2015년 통계청 534개 성씨, 15,101개 본관
◪ 성씨 [ 姓氏 ]
◆ 개념
○ 성씨란 일정한 인물을 시조로 하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단계혈연집단(單系血緣集團)의 한 명칭입니다.
성 - 부계(父系)의 혈통을 나타내며 바꾸지 못합니다.
씨 - 분화된 혈통(성)의 각각의 지연(地緣)을 표지하는 표시입니다.
◆ 우리나라 성씨의 특징
○ 성과 본관은 가문을, 이름은 가문의 대수를 나타내는 항렬(行列)과 개인을 구별하는 자(字)로 구성됩니다.
○ 부계 위주의 가계 그 자체를 본위로 한 칭호입니다.
○ 혈연관념상 자기의 출자한 씨족을 표시하여 바뀌지 않습니다.
○ 성불변의 원칙은 우리 <민법>의 가장 두드러진 특색이기도 합니다.
○ 삼국시대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한자성을 사용합니다.
◆ 최초의 문헌
○최초의 인문지리지인 ≪세종실록≫ 지리지의 성씨조에 있습니다.
◪ 본관[ 本貫 ]
◆ 개념
○ 본관은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합니다.
성(姓)의 출자지 또는 시조의 거주지를 통해 혈통관계와 신분을 나타내는 관습제도입니다.
◆ 본관의 연원
○ 성을 사용하기 전인 7세기 이전에는 그 사람의 출신지(거주지)입니다.
○ 시조의 출신지 또는 그 씨족이 대대로 살아온 고장입니다.
○ 이족의 동성과 구별하기 위하여 동족의 표시입니다.
◆ 본관제도 시작
○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호족들이 독립된 세력으로 지배권을 확립하고 성씨제도와 연결되면서 씨족의 발상지가 되었습니다.
○ 그 발상지가 본관으로 굳어졌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입니다.
◆ 본관제도 정착
○ 고려 태조는 지방행정제도를 정비하면서 군현제 개편과 토성분정(土姓分定) 사업을 시행하였습니다.
○ 고려 성종에 이르러 지방행정제도를 정비하면서 본관제도가 정착되었습니다.
○ 본관제도는 고려의 지방행정 통치조직의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 성과 본관의 상관관계
○ 동성동본(同姓同本)
○ 동성이본(同姓異本)
○ 이성동본(異姓同本)
○ 이성이본(異姓異本)
◪ 시조 설화
○ 성씨는 당초 왕실부터 시작하여 귀족·관인·양민·천민순으로 보급되어 갔습니다.
○ 이에 신성시 또는 특권시되어 득성 유래와 시조의 출자에 관해서는 신화와 민담이 많이 전승되었습니다.
○ 시조설화로는 혁거세(赫居世)·탈해(脫解)·알지(閼智)·수로왕, 제주의 고(高)·양(良)·부(夫) 3성시조설화가 있습니다.
◪ 성씨에 관한 속담
○ 성을 갈겠다
○ 이름도 성도 모른다
○ 촌놈 성 김가 아니면 이가다
○ 김씨가 한몫 끼지 않은 우물은 없다
○ 머슴살이 삼년에 주인 성 묻는다
○ 한 집안의 김별감성을 모른다
○ 10년을 같이 산 시어미 성도 모른다
〈나의 뿌리찾기 서비스는 조상과 나의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성씨와 본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