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후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하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지원대상자

  •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출산가정
  • 기준중위소득 150%초과 출산가정: 신청일 기준 산모의 주민등록상 부산광역시 거주가 확인되는 가정
    ※ 예외지원: 결혼이민 산모,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희귀난치성질환산모,장애인산모 또는 장애신생아, 새터민 산모, 미혼모 산모(혼인기록이 없고 사실혼 관계가 아닌 모), 이른둥이(미숙아)출산 가정
  • 기초생활보장 해산급여를 수급한 자, 긴급복지 해산비를 수급한자 지원 대상 포함(2020. 7. 1.부터 적용)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소득판정 기준표 소득판정 기준표다운로드 소득판정 기준표 미리보기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
  • 가구내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합산
  • 맞벌이 부부 가구의 경우부부 중 낮은 건강보험료 1/2 감경 후 합산하여 산정금액
    (예시) "A" 높은 건강보험료 + ("B"낮은 건강보험료 × 0.5)

지원제외대상자

  • 입양숙려기간 모자지원(입양특례법 제13조 및 제33조) 사업에 따른 지원을 받은자

지원내용

지원 기간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태아 유형별 출산 순위, 서비스기간(단축, 표준, 연장)의 안내표입니다.
태아 유형 지원유형 서비스기간
단축 표준 연장
단태아 첫째아 5일 10일 15일
둘째아 10일 15일 20일
셋째아 이상 10일 15일 20일
쌍태아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산모+단태아)
인력1명 10일 15일 20일
인력2명 10일 15일 20일
삼태아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산모+쌍태아)
인력2명 15일 25일 40일
인력3명 15일 25일 40일
사태아 이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산모+삼태아 이상)
인력2명 15일 25일 40일
인력4명 15일 25일 40일

* 출산 순위는 산모의 출산 횟수 기준이 아니며, 첫째, 둘째, 셋째 등과 같이 아이가 해당 가정에서 갖게 되는 차례 또는 순서에 따른 것임

  • 부산시 예외지원 대상중 기준중위소득 150%초과 첫째아인 경우는 서비스 기간은 단축, 표준만 지원가능

출산 순위는 산모의 출산 횟수 기준이 아니며, 첫째, 둘째, 셋째 등과 같이 아이가 해당 가정에서 갖게 되는 차례 또는 순서에 따른 것임

서비스시간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모건강관리, 신생아 건강관리, 표준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부가서비스 예시), 기타별 표준 서비스 안내표입니다.
구분 표준 서비스
산모건강관리
  • 산모 신체 상태 조사
  • 유방관리,산후 부종관리, 산후 체조지원
  • 산후 영양관리 및 식사준비
  • 좌욕지원, 산모위생 관리
  • 수유, 산후회복, 신생아케어관련산모교육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 산모신생아 의류 등 세탁, 주 생활공간 청소
  • 상담 및 말벗
신생아 건강관리
  • 신생아 건강상태 확인
  • 신생아 청결관리
  • 신생아 수유지원
  • 신생아 위생관리
  • 예방접종 지원
  • 감염 예방 및 관리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표준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부가서비스 예시)
  • 산모 신생아 주생활 공간 이외 청소
  • 다른가족 방, 화장실, 공용공간(현관,서재,드레스룸, 베란다, 창고, 유리창등), 수납공간(싱크대,냉장고 등) 기타 비일상적인 집안 대청소
  • 산모 신생아 의류 등 이외 세탁
  • 산모신생아 이외 가족 친지 식사준비, 자택외 다른 장소에서의 식사준비, 잔치음식, 저장식품준비, 차 접대 수준을 넘는 손님 접대
  • 기타 : 운전대행, 애완동물 돌보기, 큰아이 또는 다른가족 돌보기 등
기타
  • 제공기록 작성
  • 특이사항 보고

정부지원금 및 본인부담금

  • 정부지원금 : 태아 유형, 출산 순위, 소득 수준, 서비스 기간(표준형·단축형·연장형)에 따라 차등 지급
  • 본인부담금 : 제공기관이 자율 책정한 서비스 총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정부지원금(본인부담금)

정부지원금 표 다운받기정부지원금 표 다운받기 정부지원금 표 다운받기

신청장소 및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산모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 신청기간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 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의사소견서, 확인서 또는 사산(사태)증명서 첨부)
  •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등 신생아 입원 시,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입·퇴원일이 명시된 진단서, 의사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등 첨부) 단, 삼태아 이상 ‘연장’에 한하여 출산일로부터 100일 이내, 이 경우에도 출산일로부터 2년이 경과되면 바우처 소멸

제출서류

제출서류
공통 신청인(산모) 신분증
출산예정일 증빙서류: 임신확인서, 의사진단서(소견서), 산모수첩 등
* 보건소 등록 임산부일 경우 생략
출생증명서: 출생신고 된 경우 생략
기준중위소득 150%초과 첫째아 가구 예외지원동의서 예외지원동의서 다운받기예외지원동의서 바로보기
세대분리 / 결혼이민자 부부 가족관계증명서(상세) 1부
사실혼 부부 · 사실상 혼인관계 확인서 사실상 혼인관계 확인서 다운받기사실상 혼인관계 확인서 다운받기
· 혼인관계확인서의 확인자 2명 신분증 사본
· 주민등록등본
1개월 이상
휴직자인 경우
휴직증명서: 회사직인, 휴직기간, 유/무급 표시 필수
※ 유/무급 표시 없는 경우: 직전 월 급여명세서

*증명서·확인서의 유효기간은 신청일 전일부터 30일 이내로 함

서비스 제공기관

※ 보건소에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지원 신청 후 본인이 직접 해당업체에 연락하여 계약을 맺어야 함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기관의 구군명, 제곤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를 나타낸 표입니다.
연번 구군명 제공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1 북구 엔젤스맘 북구 백양대로 1025, 202호 343-2293
2 북구 다온 북부점 북구 만덕대로65번길 3, B201호 752-5077
3 북구 드림가 북구지사 북구 낙동북로 772번길 48, 1층 1670-0714
  • 홈페이지-서비스기관검색-제공기관검색-원하는 지역 설정-사업구분’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체크 후 조회
  • 거주지 상관없이 이용 가능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에서 검색가능 https://www.socialservice.or.kr/
  • 홈페이지-서비스기관검색-제공기관검색-원하는지역설정-사업구분‘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체크 후 조회
  • 담당부서건강증진과   

    담당자김민혜

    전화번호051-309-7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