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호

이동

보훈문화 정착돼야 한다.

  • 2001-06-26 00:00:00
  • admin
  • 조회수 : 1255
時論

6월은 호국 보훈의 달이다.
6일 현충일과 6.25전쟁기념일이 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젊음을 불사른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얼을 기리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국민의 도리이다.
특히 올해는 ‘보훈문화 확산의 해'이다.
보훈의 달 6월에는 호국영령을 기리고 보훈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추모의 기간(1∼10일), 감사와 축제의 기간(11∼20일), 화합과 단결의 기간(21∼30일)으로 나누어 다양한 행사를 열고 있다. 호국 영령의 고귀한 얼을 받드는 것이 첫째이지만,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에게 감사하고 위로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훈의 달 6월 한달 동안 추념식과 종교단체별 기도회와 법회, 국가 유공자에게 정부포상과 표창, 각 군부대의 국가유공자와 유족 및 참전용사 초청 위로행사 등이 잇달아 치러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보훈정책 강화를 위해 올 연말까지 전북 임실에 호국용사묘지를 완공키로 하는 등 보다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호국 보훈은 어느 특정 기간 동안 반짝 행사로 그쳐서는 안된다. 일반인의 보훈 의식도 보훈의 달이 지나면 점차 시들해가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현실이다.
보훈 의식은 온 국민에게 체질화 돼야하고 보훈문화는 생활화 돼야 한다. 나라를 위해 희생된 사람들이 제대로 대우받아야 올바른 국가관이나 사회정의가 바로 서기 때문이다.
나라와 민족을 위해 헌신하고 몸바친 이들을 기리는 풍토가 확립돼 있다면 사회지도층의 병역비리가 만연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일반인들에 대한 보훈 의식 고취와 보훈문화의 확산에 많은 힘을 쏟아야 하겠지만, 국가보훈업무의 정착 또한 요청된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구미 선진국일수록 국가의 보훈정책이 확고하고 국민의 보훈의식이 높은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정부 예산 대비 보훈 예산 비율도 미국 2.69%, 독일 3.1%, 호주 5.1% 등 2∼5%를 차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겨우 1.51%에 불과하다. 보훈문화의 생활화도 말로써만 되지 않는다. 기념관과 추모시설은 물론, 국가유공자와 유족, 자녀의 생활보장, 보훈병원 운영 등을 충분히 뒷받침해야 한다.
일반 국민 또한 보훈의 달에만 보훈을 생각해서는 안 된다. 평소 한마을, 이웃주민 가운데 보훈가족을 찾아보고 아픔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것이 마땅하다. 국가유공자 가족이나 자녀, 그리고 전쟁에 나가 다친 이들을 우리 사회가 정성껏 돌보고 위로하고 격려하는 풍토의 정착이야말로 보훈문화의 생활화가 될 것이다. 이 보훈문화 확산은 곧 아름답고 정의로운 사회, 인정이 넘치고 활기찬 사회를 만드는 첩경일 것이다
호국 보훈 의식은 따지고보면 수천년 우리 민족의 전통 속에 면면히 이어져 왔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 국가를 위해 희생하거나 공훈을 세운 이들을 예우하고 사당을 세워 추모했던 것도 보훈의식에서 비롯한 것이다.
우리 사회가 각박하고 정서가 메말라 갈수록 선열들의 고귀한 정신을 되새기고 머리숙여 감사하는 것이 그래서 더 중요한 것이다. 최화수 / 국제신문 논설실장

최종수정일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