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총 6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1/1 페이지 )
-
[2025년1월호] 즐거운 북구 여행 고즈넉한 자연풍경과 탁트인 전망속에서 걸어보자 상학산 상계봉, 금정산 봉우리 우리 구 최고의 해맞이 명소로 ‘위대한 북구 유산 40선’ 소개 상학산은 부산 지역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금정산의 한 봉우리로, 예로부터 대천계곡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금정산(고당봉)이 있고 남쪽으로 상학산(상계봉)이 있다. 북구 최고의 해맞이 명소로 오래전부터 마을 주민들이 새해 첫날에 마을의 풍요와 마을 사람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왔다. 현재 만덕1동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이어받았다. 상계봉 정상에 오르면 잔잔하게 흐르고 있는 낙동강 물줄기와 멀리 드넓은 김해평야가 한눈에 바라다 보이며, 언제 올라도 고즈넉한 자연 풍경과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문의 문화관광과 ☎309-4526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2번 출구) 하차 46번, 307번, 김해8번 ▷ 만덕교차로, 만덕역 하차 또는 33번, 33-1번 ▷ 상학초등학교 하차 등산 코스 추천 가벼운 산행(1코스) 만덕사거리 ▷ 상학초등학교 ▷ 천룡사지 ▷ 상계봉(150분) 긴코스 산행(2코스) 만덕사거리 ▷ 상학초등학교 ▷ 천룡사지 ▷ 금정산성 남문 ▷ 금정산성 동문 ▷ 금정산성 북문 ▷ 고당봉(240분) 2025.01.24 조회수 : 153
-
[2025년1월호] 어린이의 눈, 축제를 그리다 어린이의 눈, 축제를 그리다 우리 구는 제11회 낙동강 구포나루 축제에 전시했던 ‘어린이사생대회’ 출품 그림 64점을 감동진갤러리에서 전시하여 제11회 구포나루 축제에 대한 추억을 공유하고 전시공간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시회를 열었다. 이번 전시 주제는 ‘어린이의 눈으로 본 구포나루축제’라는 뜻이 담겨 있으며 2025년 1월 31일 금요일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감동진갤러리는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 내에 있으며, 관람시간은 아침 9시에서 저녁 6시까지 이다. 주말 및 공휴일은 휴관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자유분방한 터치와 솔직한 표현, 거침없는 창의성이 담긴 색과 이 모든 것을 포용하는 개성 넘치는 아이들의 작품을 만나보자. 문의 문화관광과 ☎309-4522 2025.01.24 조회수 : 119
-
[2025년1월호] 우리 구 문화·역사-팽우덕 장군 우리 구 문화·역사 역사인물(팽우덕 장군) 정유재란때 정곤수의 딸과 팽우덕의 아들 팽신고의 귀화 창원 팽씨 시조 팽우덕 임진왜란때 명(明)의 50여 지원 장군중 어왜총병육군대도독(御倭摠兵陸軍大都督) 팽우덕(彭友德)과 아들 어사중승유격참장(御史中丞遊擊參將) 팽신고(彭信古)가 참전하여 공(功)을 세웠다. 팽우덕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부(杭州府) 오강현(吳江縣) 출신으로 전란이 끝난후 20대인 아들 팽신고와 귀국하였다. 명나라 멸망(1664년)때 팽신고는 정유재란때 만났던 동래정씨 문중 정곤수(鄭昆壽)의 딸과 아들 팽부산(彭釜山, 初名 富山)을 데리고 조선으로 망명하였다. 그 후 부산에 영주(永住)하다 1667년(丁未, 현종 8) 사망하여 부산 만덕산(萬德山) 오좌(午坐, 정북향)에 장사하고 그 뒤 부인도 합장하였다. 1660년(현종 1) 충훈부(忠勳府)에서 팽우덕의 전공을 찬양하여 웅천 안곡동 고절산 임야를 하사하였으며, 정조가 내린 교지(御命下賜)에 의해 1797년(정조 21. 2월) 실묘(失墓)후 다시 찾은 팽우덕(유골과 유품)과 팽신고를 부산 만덕산(현, 상학산 가야골)에서 이곳 고절산(현재 진해 해군사관학교 내)으로 2대를 예장(禮葬)하였다. 1세 팽우덕은 호는 만정(晩亭),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으로 우리나라 절강 팽씨(창원 팽씨)의 시조가 되었고, 2세 팽신고는 호는 은재(隱齋), 시호는 정절공(貞節公)이다. 3세 팽부산의 모친은 동래정씨이며, 4세 팽낭기(彭郞己)는 정3품 사역원정(司譯院正) 5세 팽우창(彭雨昌)은 정3품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6세 팽흥석(彭興碩)은 종2품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7세 팽수봉(彭壽鳳)은 종2품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7세손 중 팽관석의 「은제유사(隱齊遺事)」 와 족보에도 기록되어있다. 그 후손들이 창원에 기거한 뒤로 오랫동안 계보를 이어왔으며, 2000년 1,578명으로 팽현숙(개그맨 최양락의 처)이 있다. 또한 후손들은 창원시 성산구 외동에 도강사(道岡祠)를 짓고 제향을 올리며, 공덕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浙江彭氏父子褒孝碑(절강팽씨부자포효비)”가 창원시 성산구 외동 626-4번지에 크기는 기단의 높이 95cm, 이수에서 비신까지 229cm, 비신 높이 157cm, 너비 62cm, 높이 28cm로 비문은 안명언(安明彦), 글씨 김성학(金成學), 후손 응주(應柱)가 1971년 10월 22일 세웠다. 김동국 / 낙동문화원 향토사연구소 소장 2025.01.24 조회수 : 183
-
[2025년1월호] 도심갈맷길(반려동물 친화거리) 함께 걸어요 도심갈맷길(반려동물 친화거리), 함께 걸어요 구포시장 공공공지 보행환경 정비 금빛노을브릿지 미디어아트 설치 반려동물 친화 보행로 신설 등 구는 부산시 도심갈맷길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구포시장 공영주차장 앞 공공공지 주변과 화명기찻길숲속산책로를 연계한 도심갈맷길(반려동물 친화거리) 조성 사업을 지난 12월 완료했다. 총예산 21억 800여만원을 투입하여 구포시장 공영주차장 앞 일대 일방통행로 보행환경 개선, 공공공지 화단을 조성했다. 또한 구포나루쉼터 및 상설무대 정비, 구포시장과 화명생태공원을 연결하는 금빛노을브릿지 내 미디어아트 설치, 화명기찻길숲속산책로 수목 식재 및 황톳길 이용 편의를 위한 세족장 설치, 반려동물 놀이터 등을 설치하여 사람과 동물이 함께 조화롭게 산책할 수 있는 보행환경을 조성하였다. 새롭게 조성된 도심갈맷길은 증가하는 반려인에게 혹은 비반려인에게도 함께 걸으며 건강과 힐링을 얻을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될 것이다. 문의 일자리경제과 ☎309-4652 사진 도심갈맷길 재단장 구포시장 동문방향 일방통행로(북구 낙동대로1780번길 46) 화명기찻길숲속 산책로(북구 학사로 118 또는 128 맞은편) 2025.01.24 조회수 : 124
-
[2025년1월호] 나를 더 풍요롭게 하는 문학을 바라보다 나를 더 풍요롭게 하는 문학을 바라보다 감동진 문학 제17호 북구문인협회가 발간한 작품집이다. 나수자, 이민길, 이문평, 전숙, 강대영, 강덕순,손옥자, 손은교 등의 시인들과 지역 문인 이덕길, 최혜영, 박순옥 등 수필과 작품이 소개되었다. 서주열 회장은 발간사에서 어떤 세상이 와도 문화예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학가연 제4호 특집시론을 포함해 시, 동시, 동화, 수필,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소개하였다. 시인 강정화, 고안나, 금동건, 전수현 등의 작품과 김미자, 심선경, 조재흥의 수필, 이석수의 문학기행과 채명성 작가의 에세이 등 문학의 재미와 다양성이 한권에 다 담겨있다. 2025.01.24 조회수 : 109
-
[2025년1월호] 달달상영관 2월 26일 달달상영관 부산북구예술회관 수요일 저녁 7시 2025.01.24 조회수 :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