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총 11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1/2 페이지 )
-
[2024년2월호] 꿈과 상상력이 자라는 ‘들락날락’ 시랑골에도 개소 4면형 실감형 체험관·AR도서 등 놀면서 독서하는 작은 도서관 3월 11일부터 운영할 예정 구포3동 어린이복합문화공간(들락날락) ‘시랑골 아이누리 작은 도서관’이 3월 11일 문을 연다. 시랑골 아이누리 들락날락은 시랑로185번길 47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 구 들락날락 제4호점이다. ‘시랑골 아이누리’는 어린이 작은 도서관을 중심으로 4면형 실감형 체험관, 30여종의 모션인식 인터랙티브 놀이장비, AR(증강현실) 도서, 책 읽어주는 고양이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어린이들은 집 근처에서 안전하게 놀면서 배우는 ‘미래놀이터‘인 이곳에서 창의력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9시에서 오후6시까지이다. 정기휴관일은 일요일과 월요일, 공휴일이다. 한편 우리 구는 들락날락 제1호점인 만덕도서관을 시작으로 상학·솔밭 작은도서관 들락날락을 운영해 주민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부산시는 기존 시설의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문의 구포3동 행정복지센터 ☎309-6242, 341-4981 2024.02.27 조회수 : 491
-
[2024년2월호] 우리구 자연마을 / 금곡·화명지역 율리바위그늘유적 등에 사람 살았던 흔적 ◇율리(栗里)마을=금곡동 율리는 마을에 밤(栗)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지명으로 북구지역에서 가장 먼저 사람이 살았던 율리바위그늘유적이 있는 곳이다. 1972년 부산대학교 박물관 발굴조사에서 신석기 말기의 빗살무늬토기와 바위그늘자리, 적석유구 등이 발견되어 2013년 부산시 문화재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알터(性穴)바위와 당산나무가 남아있으며, 효자 천승호와 열녀 이씨의 정려비가 양산 유림의 추천으로 1872년 세워졌으나 도로 확장으로 금곡청소년수련원에 옮겨져 있다. ◇화명(華明)의 유래=화명동은 금정산과 상학산 끝 봉우리인 화산(華山)과 그 아래 명당(明堂)이라는 명칭이 합쳐져 만들어졌으며 1914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로 공식 지명이 나타난다. 자연마을로 대천(大川), 와석(臥石), 용당(龍塘), 수정(水亭) 4개 마을이 형성되어있다. ◇대천(大川)마을=금정산 고당봉 북문재와 상학산 줄기에서 발원한 물이 합류해 큰 냇물이 마을 한 가운데로 흘러내려 붙여진 지명으로 냇물을 중심으로 양달마을과 음달마을로 나누어진다. 냇물이 흘러가는 웅덩이 중 가장 깊은 폭포가 애기소(沼)이고, 처음 대천에 사람이 살았던 곳은 탑거리(塔巨里, 현 변전소와 화명정수장 뒷등 일대) 일대로 추정된다. 조선 병자호란(1636년)때 척화파 성균관 진사 윤소 선생이 이 마을로 귀양오게 되어 1640년경 파평 윤씨 문중이 정착하면서부터 1720년경 창원 정씨, 1780년경 경주 최씨, 1800년 초 안동 권씨 문중 등이 살아온 흔적이 문중 기록에 남아있다. 그리고 곡선으로 꺾여 용당쪽으로 흐르던 대천을 1920년부터 1930년 사이에 주민들의 자력으로 직강(直江)으로 흐르게 하면서 백포원 들판을 옥답(玉畓)으로 만들었다. 1930년 10월 건립된 장우석 기념비가 그 역사를 증명하여 주고 있다. ◇와석(臥石)마을=와석은 화산 신선덤 봉우리가 신선이 누워 있는 형상이라 붙여진 지명으로 근세에는 화잠(華岑)이라고 한다. 상학산 북쪽 암봉(岩峰) 베틀굴에 미륵불상이 있으며, 가락국 공주가 나라를 구하기 위해 베를 짜면서 기도하였다는 전설과 1908년 화명사립학교를 설립하여 나라의 인재를 길렀다는 역사가 전해온다. 그리고 평택 임씨 임회 선생은 1613년 이 곳으로 유배되어 있는 동안 두 아들을 두었는데 그 후손들이 정착하였으며 전주 류씨, 청주 양씨 문중 등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다. 김동국 / 낙동문화원 향토사연구소 소장·희망북구 편집위원 2024.02.27 조회수 : 299
- [2024년2월호] 지역 예술단, 설날·정월대보름 행사 진행 설날과 정월대보름에 즈음하여 지역의 풍물단들이 지신밟기 행사와 길놀이 등으로 흥겨움을 더했다. 구포1동에서는 비석골 풍물단이 2월 14일 동 임시청사에서 고사를 지낸 후 구포시장 일원에서 길놀이를 진행했으며, 구포3동 시랑골예술단이 2월 14일 구청에서 지신밟기를 하면서 북구의 번영과 풍요를 기원하였다. 또 덕천2동 풍물단이 2월 14일부터 동 전역을 돌면서 주민의 건강 등을 기원하였으며, 덕천3동과 만덕1동 풍물단도 지역을 순회하면서 지신밟기 행사를 펼쳤다. 2024.02.27 조회수 : 270
- [2024년2월호] “사람과 자연은 하나, 더불어 살아가요” 우리동네 생태탐방 프로그램과 20년 후 마을 상상하기 진행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우리 구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가 주관하는 인문학 프로그램 2개가 진행된다. ◇‘2024 우리동네 생태탐방’=3월 15일부터 5월 17일까지 매주 금요일마다 10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기후위기 시대에 자연이 선물하는 안정감과 즐거움을 느끼고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하였다. 강좌는 화명2동 대천천환경문화센터와 화명수목원, 화명생태공원, 대천천네트워크 등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첫 강좌의 주제는 ‘우리 동네 자연환경과 마을 한바퀴’로 3월 15일 오전 10시부터 대천천환경문화센터와 야외에서 운영한다. 두 번째 강좌는 ‘열매의 생존전략, 새싹 움트기’로 3월 22일 화명수목원에서 진행한다. 참가신청은 2월 26일 오전 10시부터 북구평생학습관 홈페이지의 학습정보 코너를 통해 선착순으로 접수하며 수강료는 무료다. ◇‘20년 후 우리마을 상상하기’=우리 구가 진행하는 콘텐츠 공모전으로 3월 4일부터 4월 7일까지 북구, 강서구, 사상구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콘텐츠는 미래의 우리 마을은 어떤 모습일까, 또 우리 마을에서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곳은 어디일까, 미래세대에게 전해주었으면 하는 곳은 어디일까를 주제로 제작하면 된다. 결과 발표는 4월 13일에 할 예정이다. 제작한 콘텐츠와 참가신청서는 메일(pncc@pusan.ac.kr)로 보내면 된다. 시상금은 대상 1팀 100만원, 금상 1팀 70만원, 은상 1팀 50만원, 동상 1팀 30만원이다. 문의 교육지원과 ☎309-416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문화연구소 ☎510-1882 2024.02.27 조회수 : 272
-
[2024년2월호] 부산시교육청 ‘늘봄학교’ 설명회 개최 교육감 “양질의 프로그램 운영” 부산광역시 교육청이 2월 1일 북구문화예술회관에서 학부모와 교육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부산형 늘봄 정책설명회’를 개최해 눈길을 모았다.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외에 안전한 학교 공간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성장·발달을 위해 제공하는 종합 교육프로그램이다. 특히 기존의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을 통합한 개념으로 희망하는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윤수 교육감은 이날 설명회에서 “초등학교 입학 후 저학년 시기의 돌봄 공백이 심각한 실정”이라고 강조하고 “정규 수업 외에도 다양한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의 부산광역시 교육청 ☎860-0713 2024.02.27 조회수 : 336
- [2024년2월호] 알림마당(2024년 2월) ▨부동산 생생정보 UP / 전세사기(詐欺) 피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계약 전에 확인] ◆공인중개사무소, 공인중개사, 중개보조원 정상등록 정보확인(북구청 중개업 담당자 ☎309-4752) ◆임대물건 서류 기재사항 확인 •건축물대장 (소재지, 소유자, 면적, 용도, 호실, 구조, 위반건축물 여부) : 정부24 •등기부등본 갑구(소유자), 을구(근저당,선순위권리관계) : 인터넷등기소 ▷ 임대보증금보다 선순위채권금액이 있을 경우 신중한 판단 필요 •납세증명서 : 국세, 지방세 체납여부 (경매시 당해 세금이 우선함) ▷ 관련서류 발급일자가 계약 당일과 일치여부 확인 •다가구계약시 선순위 임대차 내역 확인서 제출 요구 소유자 확인 ◆등기부등본 소유자와 계약하러 온 사람과 동일인물인지 신분증 사진과 얼굴 대조 ◆인감도장 사용시 인감증명서와 날인하는 도장과 일치여부 확인 ▷대리인이 위임장을 가지고 계약하러 온 경우 소유자 인감증명서 첨부 확인 [계약 후에 할 일] ◆확정일자 부여 및 전입신고 ◆임대보증금의 보증가입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또는 SGI(서울보증) 문의: 북구 토지정보과 ☎309-4752 ▨우리 동네 법률상담소 운영 ◆상담일시 ▷1차: 2024년 3월 5일(화) 오후 3~5시 ▷2차: 2024년 3월 19일(화) 오후 3~5시 ◆장소: 북구청 중회의실(사정에 따라 일정, 장소 변경될 수 있음) ◆신청대상: 북구에 주소 또는 사업장을 두고 있는 사람 ◆상담신청: 구청·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메일·팩스로 신청서 제출(선착순 사전예약제) ◆상담방법: 대면(방문) 또는 비대면(전화) 중 선택 ◆상담관: 부산지방변호사회 소속 변호사 4명(회당 2명) ◆상담분야: 민사·형사·가사·행정 등 생활법률 전반 ◆문의: 북구 기획감사실 ☎309-4035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조금 신청 미세먼지 주범인 질소산화물 저감효과가 크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을 위해 보조금을 지원하오니 친환경 보일러를 설치(교체)하는 구민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표시가스 소비량 70kW 이하인 콘덴싱 가스보일러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보일러 ◆지원대상: 2024년에 친환경 보일러를 설치(교체)한 저소득층 또는 취약계층 ①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수급권자, 동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②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차상위자활사업 대상자 ③ 장애인복지법 제49조 및 50조에 따른 장애(아동)수당 수급자 ④ 장애인연금법에 따른 차상위장애연금 수급자 ⑤ 국민건강보험 시행령에 따른 차상위본인부담 경감 대상자 ⑥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한부모가족지원 대상자 ⑦ 차상위계층확인서 발급대상자(차상위계층 확인사업에 선정된 자) ⑧ 지자체 저소득층 지원사업에 선정된자 ⑨ 기준중위소득 70% 이하*인 다자녀(2자녀 이상**)가구 * 신청일이 속한 달의 ‘전월 부과보험료’를 기준으로 전체 가구원 중 ‘보험가입자’의 본인부담금을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함 ** 막내자녀 만 18세 이하인 경우에 해당 ⑩ 사회복지시설(아동,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등) ※ 지원제외 -공공기관과 공공시설, 신축건물 중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대상 공동주택 -기존 친환경 보일러 설치(교체) 보조금 지원받은 가구(중복지원 불가) ◆지원금액: 대당 60만원 ◆신청기간: 2월 19일~12월 16일(예산 소진 시까지) ◆제출서류: 보조금 지급 요청서 및 구비서류 ▷공통: ①입금 희망 통장 사본 ②친환경 보일러 설치확인서(보일러 설치 증빙사진 및 영수증 포함) ③건물 등기부 등본 또는 건축물 대장 ④보조금 신청에 따른 준수사항 및 이행확인 서약서 ⑤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동의서 ▷해당사항 있는 경우: 전·월세 계약서, 저소득층 증명서류,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등 ◆신청방법: 온라인(https://ecosq.or.kr/boiler), 방문또는 우편 ◆문의: 북구 환경위생과 ☎309-4397 ▨2024년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지원대상: 북구 거주(주민등록기준) 임신부 또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지원대상자 제외 ◆지원내용 ▷임산부 1인당 연간 48만원 상당의 친환경농산물 지원(자부담 9만6천원 포함) ▷월4회 이내, 1회 공급한도 5만원 이상(상한선 없음) ◆지원품목: 유기농·축·수산물, 유기가공식품, 무농약농산물, 무농약원료가공식품, 무항생제축산물(한우, 유정란, 돼지고기) ◆신청기간: 2월 13일 오전 10시~3월 15일 오후 6시 ◆신청방법: 온라인 및 오프라인 ▷온라인: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통합쇼핑몰(www.ecoemall.com)에서 신청 ▷오프라인: 북구청 일자리경제과(제2별관 1층) ◆구비서류: 지원신청서, 주민등록등본, 임산부 증빙자료(임신·출산확인서, 산모수첩, 출생증명서 등) ◆선정방법 ▷1차 추첨제(688명): 미선정된 신청자는 순위를 부여하여 예비 사업대상자로 관리 ▷2차 선착순: 사업포기자 발생 시 예비 사업대상자에서 선착순으로 선정 ◆문의: 북구 일자리경제과 ☎309-4472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연금보험료 지원 ◆지원대상: 국민인 지역가입자로서 경제적 사유에 따라 연금보험료를 내지 아니하고 있는 자(납부예외 사유가 실직, 사업중단 및 휴직인 경우)가 연금보험료 납부 재개 및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 ◆지원제외 ▷소득기준: 종합소득 중 사업소득 및 근로소득을 제외한 소득금액이 1,680만원 이상 ▷재산기준: 토지, 건축물, 주택, 항공기 및 선박에 대한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이 6억원 이상 ◆지원기간: 가입자 생애 최대 12개월 ※12개월 지원받기 전까지는 지원요건 충족 시 지원 재신청 가능 ◆지원금액: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원 수준(*2024년 기준) ▷기준소득금액 103만원 이하인 경우: 연금보험료의 2분의 1 지원(정률) ▷기준소득금액 103만원 초과인 경우: 월 최대 46,350원 지원(정액) ◆지원절차: 매월 연금보험료에서 지원금액 차감 고지 후 완납 시 지원 ▷(지역가입자)납부 재개 및 보험료 지원신청→(공단)지원대상 결정 및 통지→(공단)보험료 부과→(지역 가입자)보험료 납부→(공단)보험료 납부 확인→(복지부·공단)국고보조금 지원 ◆문의: 국민연금공단 북부산지사 ☎603-1283 ▨도시가스 사용자시설 설치비 융자지원 ◆사업대상: 도시가스 사용 주택 등 소유자 및 사회복지시설 소유 또는 임대하고 있는 대표자 ◆사업내용: 도시가스 사용자에게 도시가스 설치비용 저리 대출 추천서 발급 ▷대출이자율: 연 1.5% [보증보험증권 발급비용(연 0.76% 수준, 최초 1회 부담)별도] ◆신청기간: 1월 29일~연중 ◆신청방법: 북구청 일자리경제과 방문 신청 ▷구비서류: 신청서, 사용자시설 설치비 청구액 사본, 도시가스 공급 확인원 ◆문의: 북구 일자리경제과 ☎309-4475 ▨2024년 기초생활보장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2024년 주요변경 내용 ▷기초생활보장 선정기준 완화 : 생계급여 기준중위소득 30%→32%, 주거급여 47% → 48% ▷중증장애인 수급가구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제외 ▷자동차 재산기준 완화 -생업용 자동차 2,000cc 미만 승용자동차 1대 재산산정 제외 -다인(6명), 다자녀(3명) 이상 가구 2,500cc 미만 자동차(10년이상, 500만원 미만) 일반재산환산율 적용 ▷근로소득사업소득 공제 확대 -청년 근로·사업소득 공제 24세이하 → 29세로 확대 적용 -청소년 한부모(24세이하) 근로·사업소득 공제 40만원+30% → 60만원+30% 확대 ◆지원절차 ▷신청장소: 주민등록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주체: 신청가구의 가구원 및 그 친척, 기타 관계인 ▷조사내용: 신청가구의 소득·재산, 근로능력, 취업상태, 부양의무자 등 ◆신청서류 ▷필수신청서: 사회보장급여신청(변경)서,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부양의무자 포함) ▷구비서류(필요시): 임대차계약서, 소득·재산 확인서류, 가족관계 기록사항 증명서 ◆문의: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북구 생활보장과 ▨북구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교실’ 참여자 모집 ◆운영기간: 2024년 2월 ~ 11월 ※ 상세 일정은 전화 문의 바람 ◆운영대상: 만60세 이상 북구 지역주민 누구나 ◆운영내용: 치매예방교실 운영, 기억이 꽃피는 텃밭 가꾸기 활동 ▷부산철도9988(부산특화프로그램)을 활용한 인지훈련, 치매예방체조 및 교육 ◆운영장소: 북구 치매안심센터 4층 교육장 ◆문의: 북구치매안심센터 쉼터팀 ☎309-5272~4 ▨LH 고령자형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수시모집 ◆신청기간: 모집호수(4호) 소진시까지 ◆신청장소: 주민등록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서 작성 등을 위해 현장접수만 가능, 유선접수 불가 ◆신청서류: 입주신청서, 개인정보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동의서, 무주택확인서, 주민등록등·초본 ◆공급대상 주택 ▷공급지역: 북구 의성로74번길 35(덕천동) ※ 덕천2동 ▷공급호수: 4호 / 원룸형 구조 ▷가구면적: 전용면적 약 29m²(약 9평) ▷주택옵션: 전기인덕션, 전자레인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수납장 ▷주요시설: 커뮤니티실(1층 보담방), 주차면수 7대 ◆신청자격: 모집 공고일(2023.9.22.) 현재, 입주자격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중에서 순위에 따라 선정 ◆입주자격 요건 ▷북구에 주민등록 거주자 중 무주택세대 구성원(노인단독, 노인부부) ▷재가노인 또는 의료기관 장기입원자(181일 이상 입원) 중 신청일 기준 2개월 이내 퇴원예정자 ▷65세 이상(1959년생 2월 이전 출생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제한사항 ▷LH가 공급하는 임대주택 기입주자는 신청 제외 ▷모든 요건은 입주 시까지 그 자격을 유지해야 함 ▷입주자격 조사결과에 대한 부적격 사유에 대한 소명의무는 신청자에게 있음 ▷입주자로 선정된 이후에도 상기의 입주자격 요건에 부적격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임대차계약이 해제 또는 해지 될 수 있음 ◆문의: 북구 주민복지과 ☎309-4364, 동 행정복지센터 돌봄창구 ▨ 헤아림 가족교실 (치매가족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운영기간: 2024년 2월~12월 ※ 상세 일정은 전화 문의 바람 ◆운영대상: 치매환자 및 경도인지장애 진단자의 가족 또는 보호자 ◆운영내용: 치매알기, 돌보는 지혜 제공, 가족들의 공감대 형성 및 정보 공유 ◆운영장소: 북구 치매안심센터 4층 교육장 ◆문의: 북구치매안심센터 쉼터팀 ☎309-5272~4 ▨ 생활 속의 법률상식 / 저작권법 Q: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저작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서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저작물에는 어문, 음악, 연극, 미술, 건축, 사진, 영상, 도형, 컴퓨터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저작물의 개념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합니다. •저작물을 만들었다고 해서 모두 ‘저작권법’으로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 저작물에는 창작성이 요구됩니다. 창작성은 남의 것을 베끼지 않고 작가 자신의 독자적인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을 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높은 수준의 창작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닙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저작물 •어문, 음악, 연극, 미술, 건축, 사진, 영상, 도형, 컴퓨터프로그램, 편집, 2차적 저작물 등이 있습니다.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따른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따른 의결·결정 등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위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문의: 북구 기획감사실 ☎309-4036 2024.02.27 조회수 : 312
-
[2024년2월호] 역사·문화 담은 향토문화지에서 스물다섯 갈래 길까지 역사·문화 담은 향토문화지에서 스물다섯 갈래 길까지 낙동문화원 ‘만덕동 향토지’ 향토문화지 ‘낙동강 사람들’ 스물다섯 갈래 길 ‘소요북구’ <만덕동 향토지> 낙동문화원이 ‘만덕동 향토지’를 펴냈다. 2021년에 금곡동 향토지를 처음 발간한 낙동문화원은 화명동, 구포동 향토지를 연이어 출간하고 이번이 네 번째 향토지로 낙동문화원이 5개년 사업으로 발간하는 향토 책자이다. 향토지에는 지명의 유래, 세시풍속, 유·무형 문화유산 등 다양한 만덕동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고 있는 사진들과 자료들을 정리해 알기쉽게 설명하였다. 서두는 만덕동 옛길, 백양산 주지봉 설경, 만덕1터널, 함박고개 맨발 등산로, 레고마을 등 만덕동의 사진을 한 눈에 담기 쉽게 화보로 보여준다. 본문은 만덕동을 자연, 인문, 문화로 세 섹션으로 나누고 자연은 강과 하천 산책길, 전망대 등 걷고 싶은 만덕동을 이야기 한다. 인문은 만덕동 출신 인물과 지역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시설과 생활편의 시설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는 만덕사지, 석불사, 김기장군의 묘 등 유형문화유산과 설화 민간신앙 등 무형유산 그리고 문화 관련 도서관, 레고마을 등 기관과 가을은행잎 축제 등 구민들이 함께 만드는 즐거움이 가득한 축제 현장까지 기술하였다. <낙동강 사람들> ‘낙동강 사람들’은 1988년 창간이래, 지역의 정체성을 담고 주민의 삶과 소식을 기록하며, 후대에 전할 이야기를 남기는 우리 구의 대표향토지로써,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북구의 유산과 역사에서는 부산의 성곽과 송선사지와 유물, 1903년 구포역이 태어나기까지의 배경을 담았다. 행복한 문화생활에서는 부산다운 건축, 위치적 특성이 지역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능수버들 늘어진 화명생태공원을 그리다를 담았다. 낙동강변 시문학, 근대화 이후 변화된 북구 자연마을에 대한 소고, 상학산의 임진왜란 공신 묘소 김기 장군, 통정대부 양통한, 창원 팽씨 시조 팽우덕 등을 담았다. 또, 2024년 한 해 동안 낙동문화원이 진행한 다양한 지역문화사업을 사진과 함께 정리했다. 문의 문화체육과 ☎309-4064 <소요 북구>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북구의 풍성한 이야기를 전한다. 구의 5개 행정동(금곡, 화명, 구포, 덕천, 만덕)을 기준으로 가로수길, 산책길, 둘레길, 등산길 등 걷기 좋은 스물다섯 갈래 길을 소개한다. 각 길의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곳에서 만날 수 있는 유산, 유적 등도 알려준다. 천천히 거닐며 돌아다니다 보면 이 과정 속에서 본인의 삶을 돌아보게 되고 삶을 통찰력있게 다시 바라보게 되며, 목표가 생기고 역사와 문화의 소중함이 더 느껴진다. 296쪽의 ‘소요북구’ 책 속에는 북구의 아름다운 노을길, 마을과 자연 그리고 역사가 함께 하는 부산 북구의 스물다섯 길이 소개되고 있다. -김정곤 저 2024.12.26 조회수 : 199
-
[2024년2월호] 우리 구 문화·역사, 역사인물(김기장군 2) 나라의 위급에 일신을 버려 향토를 지키다 순국하다 24공신 공적비(功績碑) 동래부는 나라의 관문이라 임란의 화(禍)를 제일 먼저 당한 고장이었다. 당시 부사 송상현공을 비롯하여 왜적을 무찌르기에 값진 피를 흘린 분들은 무수하였다. 대군 앞에 성(城)은 함락되었지만 애국지민의 충의가 목숨을 홍모(鴻毛)와 같이하였다. 살아남은 목숨조차도 7년간이나 의병의 대열에서 분전하였고 또는 지조를 지켰다. 난후공신록(亂後功臣錄)에 이름이 오른자 실로 무수하나 그중에도 가장 공적이 뛰어난 분들이 24공신이다. 그러므로 이 고장은 후인들이 일러 충의지방이라 한다. 임란 7년은 형극의 세월이라 난을 예방하지 못하였음에 부끄러움이 있지만 난을 맞아 순국하였던 선열과 끝까지 항전 저항하였던 의사를 생각하면 이 분들이 남긴 그 교훈의 뜨거움에 가슴이 저려들지 않는 이가 있겠는가. 나라의 위급에 일신을 버려 향토를 지키다 순국한 의열들의 덕행과 전공을 기리며 그 뜻을 받들기 위해 24제공(諸公)의 고명(高名)을 이 돌에 새긴다. 1987년 3월 일 부산광역시 근수(謹竪) 충렬사지 별전공신(別典功臣) 충렬사에 동래부의 임진왜란 66공신 중 별전 24공신이 배향(配享)되고 있다. 이들은 지난 임진왜란 때에 그 용절을 분발하여 몸을 잊고 어려움을 무릅쓰며, 7년 동안의 도탄 속에서도 시종 한 마음으로 나라를 위한 분들로, 그 의열이 늠연하고 공적이 현저하다. 나라에서는 각기 전(田) 1결(結)을 급복하고 아울러 각호(各戶)에 노비 일구를 허급(許給)하여 각별히 완호하도록 하였으며, 대소의 차역(差役)을 일체 감면토록 하였다. 이처럼 충의를 정표(旌表)하여 강상(綱常)을 진작하고, 공노에 보답하여 풍속을 장려한 것은 그 착한 자를 권장하고 착하지 않은 자는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있게 하고자 함이였으니,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포충복호문(褒忠復戶文) 동래부사 이안눌(李安訥)이 1608년 기록한 포충복호문 김기 편(編)에 “판관 김기는 임진변란 이후 본부인(東萊府)이 전투에 져서 뿔뿔이 흩어질 때에 끝내 관(官)을 배반하지 않았다.” 그리고 24공신에 기록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김동국 / 낙동문화원 향토사연구소 소장 2024.12.26 조회수 : 169
-
[2024년2월호] 제3회 성인문해교육 온라인 시화전 제3회 성인문해교육 온라인 시화전 북구평생학습관 홈페이지 ‘문해, 온 세상이 다가온다’ 전시 <자신있어> “몰라서 엄청 답답했고 늘 기가 죽어 있었는데 글을 배우고 나서는 어딜가서도 자신이 있고 재미가 난다. …(중간생략) 세상에 내가 몰랐던 새로운 재미난 것들이 너무나 많더라. 잘 못해도 좋다. 그게 뭐! 난 이제 뭐든 즐길 자신 있는데” -김영이 작 제3회 북구 성인문해교육 온라인 시화전이 12월 26일에 개최된다. 이번 시화전에서는 처음 배우는 한글을 읽고 쓰고 연습을 통해 시화 작품까지 만든 학습자들의 열정이 담긴 작품들을 선보인다. 온라인 시화전은 북구평생학습관 홈페이지 상단의 ‘성인문해교육 시화전’ 플랫폼을 통해 상시 운영된다. 이곳에서는 문해 학습자들의 정성 어린 작품뿐만 아니라 인터뷰, 시 낭송 등 관련 영상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전시 주제는 ‘문해, 온 세상이 다가온다’로 자유 소재이며 문해교육 학습자들의 작품 55점이 온라인에서 상시 전시된다. 문의 교육지원과 ☎309-6171 2024.12.26 조회수 : 150
-
[2024년2월호] 김봉화·유은정 씨 북구 문화예술인상 수상 김봉화·유은정 씨 북구 문화예술인상 수상 우리 구는 제6회 북구 문화예술인상의 주인공으로 김봉화 씨와 유은정 씨를 선정했다. 북구생활문화연합회 소속인 김봉화 씨는 금곡동 지역 주민단체인 금곡 지기에서 활동하며 청소년을 위한 음악 축제 등을 개최하여 지역주민과 문화예술계에 기여하였다. K-POP 댄스 팀 소속 유은정 씨는 40대 주부들로 구성된 댄스 동아리를 창설하여 전국적으로 북구의 생활문화를 알리고 장애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댄스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문의 문화체육과 ☎309-4066 2024.12.26 조회수 :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