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호

이동

부산전문대학 민속박물관

  • 1997-02-25 00:00:00
  • admin
  • 조회수 : 1195
나막신, 곰방대, 등잔대, 곱돌솥, 옆전, 놋대야…….
20여년 전만해도 생활 속에 간간히 쓰이던 이런 물건들이 이제는 볼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차라리 몇백 년 된 자기나 족자 같으면 가보니 골동품이니 하면서 애써 찾아 신주처럼 모셔두었겠지만 곰팡내만 나는 이런 물건들은 편리한 서양식 가구나 집기에 밀려 어느틈엔가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구포동 산48-6번지에 자리한 부산전문대학의 민속박물관에는 아련한 옛 추억의 한켠으로 밀려나 있는 이런 물건들이 모여 있다.
어린 시절의 향수 가득한 민속 자료들
전문대학으로서는 전국최초의 민속박물관…주중 상시개장해 많은 관람객 이용
전문대학으로서는 최초로, 그것도 민속에 관련된 물건들만 모아둔 이 박물관은 320평의 공간에 3개의 전시실과 관장실, 수장고 등이 설치돼 있는데, 제1전시실에는 악기, 놀이용구, 사냥·무기류, 사랑방 도구, 안방 도구, 한방용구, 식기, 민속탈, 돌상, 혼·상·제례용구, 싸리공예, 농기구, 가마니, 가마니틀 등이 전시돼 있다. 또 제2전시실에는 화석, 토기, 고려자기, 조선자기, 식생활용구, 목공구, 나들이용구, 남성의류, 여성의류, 다듬이 용구, 베틀, 음식용구, 대공예품 등이 전시돼 있고 제3전시실에는 토기, 화폐, 착용용구, 유기, 민화병풍, 지승공예, 담배용구, 마구(馬具)류, 화장용구, 삼국시대 토기류, 옹기류, 백자기류 및 청자기류와 외국유물이 보관돼 있다.
이들 민속자료는 모두 2천여 점에 달하는데, 인간문화재 18호인 동원(東園) 이남선 선생(동래야유 제대각시역)이 지난 74년부터 동래 금강공원 내의 부산민속예술관에 소장해 오던 1천6백여점의 자료들을 인수하여 지난 93년 11월 12일 부산전문대학교 내의 민속박물관으로 개관하고 계속적으로 수집해 지금에 이른 것.
민속박물관교실 운영
개관 이래 지역주민과 학생들을 위해 상시 개관하고 있을 뿐아니라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민속박물관교실을 열고, 입시가 끝난 고교생들을 위해 고교특별교양교실도 운영하는 등 관내외 학생들에게 민족문화를 직접 체험하게 해주는 살아있는 교육장이 되고 있다.
박물관을 찾는 학생들에게는 전시된 자료들을 관람하고 난 뒤 박물관 내에 있는 미강홀에서 문화재관련 비디오 상영과 민속 강의를 실시해 민속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그간 이 박물관을 다녀간 학생들은 지난 연말까지 31개교 1만 147명.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박물관을 관람하는 사람은 학생들만이 아니다. 일반인들에게도 문이 활짝 열려 있는데, 특히 학부모들과 관내 주부대학 등에서 교양강좌로 이곳을 찾고 있다.
또 미강홀에서 열리는 세미나나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이곳에 전시된 자료들을 관람하게 된다.
민속박물관이 다른 박물관과 차별화되는 것은 역시 우리 민족의 실생활에 밀접한 유품들이 있고, 그 가운데는 비교적 최근까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었던 물건들이 모아져 있다는 것이다.
어린 학생들은 그저 말로만 듣던 옛날 물건들을 신기한 눈으로 구경하고 가지만 3~40대 이상의 중년층은 이 유물들을 보면서 아련하고도 애틋한 감회에 깊이 젖어들게 되는 것이다. 어린 시절의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으로서 박물관을 운영한다는 것이 몹시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학교측의 전폭적인 배려가 뒷바침되기 때문에 다른 대학 박물관보다 많은 시간을 개관해 많은 사람들에게 관람기회를 줄 수 있다고.
부산전문대학에서는 오는 99년에 종합학술센터가 완공되면 8층 전체를 사용해 민속박물관을 이전할 계획인데 이렇게 되면 지금보다 세 배 이상 넓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제2대 박물관장을 맡고 있는 최진식 교수(문학박사)는 이 많은 자료들 가운데 북구에 관련된 것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옛 행정관청 같은 곳에 보관돼 있을 호적문서나 소장(訴狀) 등 이곳에서 살던 이들의 삶이 그대로 기록된 문건들도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고, 그런 것들을 플 사이트에서 자리를 잡아가는데 같은 주제나 같은 지역, 관심사항별로 개설하면 된다.

최종수정일2020-11-20